팔포항
남해 동부
선박
39척
인기순
가나다순
갈치
문어
한치
대물
010-6412-8666
9.77톤 최대 22명
출조예정
갈치
한치
참돔
사이다호
010-6578-1222
출조예정
문어
갈치
대구
박프로호
010-4948-2612
출조예정
문어
대구
쭈꾸미
모개섬호
010-5048-9946
문어
감성돔
갈치
대동호
010-4550-9017
문어
쭈꾸미
갑오징어
삼천포선상낚시창남호
010-5489-8780
갈치
문어
한치
포인트호
010-4571-2363
문어
감성돔
참돔
에이스호
010-4844-4888
최대 11명
문어
갑오징어
쭈꾸미
태진피싱
010-5685-7751
4.99톤 최대 12명
문어
쭈꾸미
갑오징어
진우호
010-8687-5278
최대 12명
갈치
문어
갑오징어
본전호
010-7193-4555
3톤 최대 8명
쭈꾸미
문어
갑오징어
피싱스토리호
010-5786-1117
최대 20명
갈치
문어
참돔
스피드호
010-5035-1522
문어
갑오징어
쭈꾸미
건담호
010-5162-8978
9.77톤 최대 22명
문어
쭈꾸미
갑오징어
팔포피싱호
010-4514-1100
감성돔
문어
갑오징어
피싱파라다이스호
010-3889-8755
8.55톤 최대 20명
문어
갑오징어
감성돔
신가피싱
010-3287-7785
갈치
문어
갑오징어
도리스피싱
010-2456-9023
갈치
한치
문어
뉴돌핀호
010-4587-8838
갈치
쭈꾸미
문어
뉴경원호
010-5630-6366
문어
볼락
갑오징어
삼포김선장
010-6765-9229
문어
쭈꾸미
숭어
범용호
010-6591-3634
최대 9명
문어
쭈꾸미
갑오징어
온누리호
010-4623-9737
문어
쭈꾸미
열기
라온호
010-2631-3456
최대 10명
갈치
문어
볼락
매일호
010-5049-3560
문어
쭈꾸미
감성돔
하나피싱
010-3866-4041
최대 9명
문어
한치
갑오징어
청용호
010-7593-0150
문어
쭈꾸미
감성돔
대양피싱
010-8872-1948
문어
볼락
감성돔
동영호
010-8516-9584
문어
갈치
쭈꾸미
경민피싱호
010-4002-9393
최대 14명
쭈꾸미
문어
갑오징어
수덕호
010-9320-8007
쭈꾸미
갑오징어
문어
동남호
010-4676-3004
쭈꾸미
문어
갑오징어
유진호
010-2746-7887
문어
볼락
한치
금양호
010-7134-4433
도다리
문어
갑오징어
명덕호
010-9334-6696
문어
참돔
갈치
청운호
010-7604-7935
7.93톤
쭈꾸미
참돔
문어
보성호
010-3355-4666
쭈꾸미
갑오징어
신가호
010-8548-1348
갈치
문어
쭈꾸미
경단7호
010-4857-4008
선박 더보기
조황 영상
물때표
2025.09.10 ~ 2025.10.09 기준
9.10
음력 7.19
오늘
수요일
11물
9.11
음력 7.20
목요일
12물
9.12
음력 7.21
금요일
13물
9.13
음력 7.22
토요일
14물
9.14
음력 7.23
일요일
조금
9.15
음력 7.24
월요일
1물
9.16
음력 7.25
화요일
2물
9.17
음력 7.26
수요일
3물
9.18
음력 7.27
목요일
4물
9.19
음력 7.28
금요일
5물
9.20
음력 7.29
토요일
6물
9.21
음력 7.30
일요일
7물
9.22
음력 8.1
월요일
8물
9.23
음력 8.2
화요일
9물
9.24
음력 8.3
수요일
10물
9.25
음력 8.4
목요일
11물
9.26
음력 8.5
금요일
12물
9.27
음력 8.6
토요일
13물
9.28
음력 8.7
일요일
14물
9.29
음력 8.8
월요일
조금
9.30
음력 8.9
화요일
1물
10.1
음력 8.10
수요일
2물
10.2
음력 8.11
목요일
3물
10.3
음력 8.12
금요일
4물
10.4
음력 8.13
토요일
5물
10.5
음력 8.14
일요일
6물
10.6
음력 8.15
월요일
7물
10.7
음력 8.16
화요일
8물
10.8
음력 8.17
수요일
9물
10.9
음력 8.18
목요일
10물
물때표 보는 법
팔포항 주변 낚시방
경상남도 사천시
인천해저낚시
24.9km
인천광역시 부평구 원적로 479
매일 09:00~22:00
전화하기
홈페이지
자세히 보기
SNS 간편 로그인
HOME
선박
낚시방
뉴스
선장용 서비스로 이동
물때표 보는 법 및
조석 관련 용어 정리
바다물이 많이 들고 나는 때를 사리, 적게 들고 나는 때를 조금이라고 합니다. 사리, 7물, 8물, 9물은 물이 많이 들고나서 물고기의 이동이 많고 활발하여 낚시하기 좋고 조금, 무시, 1물은 유속이 느려져 물고기의 활동성이 떨어져 낚시하기 좋지 않습니다.
물때식
물때식은 음력으로 계산되며, 29일까지 있는 달의 경우 30일(6물or7물)을 생략하고 계산합니다. 서해의 경우 7물때식을 사용하며, 동해 및 남해의 경우 8물때식을 사용합니다.
만조 · 간조
滿潮 · 干潮
바다에는 하루에 2번씩 간조와 만조가 있습니다. 간조는 가장 낮은 물 높이까지 빠져나간 때, 썰물 끝 상태이며 만조는 이와 반대로 가장 높은 물 높이가 되었을 때, 밀물 끝 상태를 말합니다.
조차
潮差
만조와 간조시 해수면의 높이 차를 말한다. 갯바위에서 보았을 때 패류가 군집하는 곳과 그렇지 않는 곳이 구별됩니다. 즉 만조선이 뚜렷하게 보이는 곳이 많으며 조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차는 한사리때는 크게, 조금때는 차이가 작습니다.
사리
大潮差
음력 매달 보름(음력 15일)과 그믐(음력 30일) 날에, 조수가 많이 들고 나는 데 이 때가 사리 때입니다.
조금
小潮差
사리의 반대 현상으로, 조차가 적은 날을 말하며 대개 음력 매달 8일과 23일에 있습니다.
자료 출처 - 국립해양조사원